사랑하는 여인의 숨결이 담긴 석주길....
|
석주길에 관하여.....
천화대(天花臺)는 천 가지 꽃이 핀 듯 아름다운 절벽.
릿지 등반으로 설악산을 찾는 산악인에게 인기 있는데
여러 코스 중 하나인 '석주 길' 동판이 유독 눈길을 끈다.
60년대 말 요델 산악회의 송 준호 엄 홍석 과 신 현주
세 사람은 서로 자일 파트너이고 친구이자 연인사이였고
어느 한 가지도 포기할 수 없을 만큼 가까워 늘 함께 다녔다.
결국 송 준호는 세 사람의 소중한 관계를 지키기 위해
자신이 물러서기로 결심하고 두 사람 곁을 홀연히 떠났고
그로부터 얼마 후 연인이 된 두 사람에게는 비운이 찾아온다.
설악산 천당 폭 빙벽을 오르던 신 현주가 실족하자
확보를 보던 엄 홍석은 그녀의 위기를 직감하는 순간
자신의 몸을 빙벽 아래로 날려 그녀 추락거리를 줄였지만
그 추락하중을 못 견뎌 빙벽에 설치한 확보물이 빠져나가며
두 연인은 한 자일에 묶인 채로 추락해 불귀의 객이 되고 만다.
설악산에서 숨진 산악인은 대부분 그러하듯
두 사람 시신도 설악산 자락의 노루목에 묻힌다.
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산악인 묘지이기도 한 그곳
그 후 송 준호는 1969년에 천화대에 바윗길을 개척하고
개척자가 새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고유권한의 관례에 따라
고인이 된 두 사람을 못 잊어 '석주 길'이라고 이름을 붙인다.
'엄 홍석'의 석 字와 '신 현주'의 주 字를 따서 명명된 이름이다.
그 후 송 준 호 역시 1973년 초에 '토왕 폭'을 오르다가
실족사고로 인하여 먼저 간 두 친구의 영혼을 뒤따르게 되고
후일 송 준호 유품을 정리하다가 그가 남긴 엽서 한 통이 발견된다.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받는 이 : 석주
주 소 : 목(노루목)으로
보내는 이 : 준
주 소 : 벽에서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'잘 있었나.
그동안 나는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네.
내일 벽과의 감격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었네.
아니면 자네 품으로….
(이하 생략)
지금 세 명은 노루목에 묻혀 있다.
아래는 묘지 충혼비에 새겨진 글이다.
- 아 래 -
시간과 존재의 불협화음으로
공간을 활보하고 있는 악우들이여!
철학적 경이로써 모둠된 그대들의 자취는
훗날 이 인자한 산정을 찾는 이들의 교훈이 될 것이다.
추억을 침묵으로 승화시킨
사람들의 그 대담한 의지로
그대들은 설악에서 회생하리라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