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행에 관하여.......
새롭게 시작하는 초심자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 암벽등반의 기초적인 내용을 올리오니 숙독해서 실전에서 반복 숙달하면 안전한 등반이 될 것입니다 .
오금이 저리는 코스를 한번 올랐다는 기쁨은 잠시지만 전체적인 등반의 시스템을 익히고 이해하여 스스로 등반을 설계하고 안전하게 실행해내면 그 기쁨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.
장비착용, 매듭법, 등반신호, 슬랩 등반, 하강하기
Ⅰ. 개인 장비의 올바른 착용 - 안전한 등반의 기본적이 원칙이다.
⑴ 하네스 착용하기 - 왜 착용 하는가?
① 구성 : 허리 + 다리 - Re-buckle & Single pass / Leg loop & Waist belt Buckle
② 착용법 - 허리는 단단히 / 다리는 피가 통하게
③ 확인
㉠ 하네스 부품의 손상 여부 - 버클, 웨빙, 벨크로 등등
㉡ 버클 확인 - 리버클 및 싱글 패스 버클이 제대로 작동하는가?
㉢ 좌우 및 아래위의 균형 - 허리나 중간 고리가 제대로 균형을 맞추어져 있어서 중심을 잡아주는가?
㉣ 허리나 다리의 꼬임 - 하네스가 꼬인 곳은 없는가?
㉤ 복장 점검 - 바지주머니, 허리띠, 두툼한 복장
⑵ 자기 확보 줄 (데이지 체인)
① 구성 - 안전벨트와의 연결부 / 중간 고리 / 카라비너와의 연결부
② 착용법 - 안전벨트 - 빌레이 루프 / 중간 고리 / 카라비너 연결
③ 확인 - 웨빙 손상, 바텍 손상
⑶ 헬멧 - 착용의 중요성, 구성, 종류, 올바른 착용법
① 구성 - 외피, 지지 밴드, 헤드밴드, 턱끈, 턱끈 조절 버클, 턱끈 연결 버클, 턱 보호대, 고무줄
② 착용법
㉠ 헤드밴드를 머리에 맞게 (턱끈을 조이지 않고 흔들어도 떨어지지 않게)
㉡ 턱끈 조절 버클을 이용하여 귀와 턱 사이에 밴드가 위치하도록 한다.
㉢ 턱끈 연결 버클이 옆 부분에 위치하고 턱 보호대는 턱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.
③ 확인
㉠ 부품의 손상 여부 - 버클, 웨빙 등등
㉡ 버클 확인 - 버클이 제대로 작동하는가?
㉢ 앞뒤 및 좌우의 균형 - 앞뒤 좌우가 제대로 균형을 맞추어져 있어서 중심을 잡아주는가?
㉣ 웨빙의 꼬임 - 웨빙이 꼬인 곳은 없는가?
⑷ 기타 장비 착용 - 하강 및 확보기, 카라비너 및 퀵드로, 등반 장비, 슬링 류 등등
① 하강 및 확보기
㉠ 잠금 카라비너를 함께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휴대 하는 것이 편리하다.
㉡ 사용 빈도가 높지 않으므로 허리 뒷부분에 휴대한다.
② 카라비너 및 퀵드로 착용
㉠ 카라비너와 퀵드로는 하네스의 장비 걸이에 확실히 걸어 둔다.
㉡ 잠금 형은 뒤쪽, 퀵드로는 앞쪽에 쓰이는 순서에 따라 걸어둔다.
㉢ 일반 형은 슬링과 같이 또는 독립적으로 걸어둔다.
③ 등반 장비
㉠ 등반 장비는 별도의 장비걸이를 사용하여 휴대하여 등반중 걸리지 않도록 한다.
㉡ 등반 루트 상 쓰이는 순서대로 앞에서부터 뒤로 걸어둔다.
㉢ 보통 작거나 길이가 짧은 것을 앞으로 크고 긴 것은 뒤로 한다.
④ 슬링 류 (테이프 및 코드)
㉠ 제품의 손상 여부 - 연결 부위 및 표면 상태 확인 할 것. (너무 단단하거나 흐물거림)
㉡ 50~60cm 정도의 제품은 어깨에 가로질러 착용.
㉢ 50cm 이하로 짧거나 80cm 이상 긴 것은 꼬아서 줄여서 카라비너를 이용하여 착용.
⑸ 잠금 카라비너의 중요성
- 잠금 카라비너는 등반 중 실수 또는 불의의 상황에서 게이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전과
관계되는 모든 곳에는 잠금 카라비너를 써야 한다.
① 용도 - 안전벨트용 / 확보 및 하강기용 / 데이지 체인용 / 고정지점용
② 사용법
㉠ 안전벨트 - 빌레이 루프에 두개를 사용한다.
㉡ 확보 및 하강기용 - 강도가 좋고 크기가 크고 다루기 쉬운 것.
㉢ 데이지 체인용 - 크기가 작고 다루기 쉬운 것.
㉣ 고정 지점용 - 강도가 좋고 크기가 크고 다루기 쉬운 것.
③ 확인 - 손상여부 - 몸체의 틀어짐 이나 긁힌 자국, 게이트의 작동 여부 및 틀어짐.
Ⅱ. 매듭법 확인 - 매듭법의 중요성 - 본인이 매듭을 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.
⑴ 이중 8자 매듭 - 카라비너 이용 시 (75~80%)
⑵ 8자 되감기 매듭 - 하네스에 직접 연결 시
⑶ 8자 연결 매듭 - 로프 끼리 연결 할 때
⑷ 클로버히치 - 로프 고정 시 (긴급 상황 또는 보조) (60~65%)
⑸ 하프 클로버히치 - 선, 후등자 확보 시
⑹ 보울라인 - 몸에 로프를 직접 연결 할 때 (러시안 스타일이 좋음) (70~75%)
⑺ 이중 보울라인 - 매듭 부분의 강도를 높게 해준다.
⑻ 되감기 보울라인 -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해준다.
⑼ 이중 피셔맨즈 - 모든 끝매듭에 사용, 로프 연결 시 사용. (60~65%)
⑽ 물 매듭 (테이프 매듭) - 테이프 슬링 연결 시 사용 ( 사용전 항상 확인 할 것) (60~70%)
⑾ 프루직 매듭 - 고정, 등강기 대용
⑿ 옰 매듭 - 매듭의 기본이 되는 매듭 (60~65%)
Ⅲ. 등반 신호 익히기 - 등반 신호의 중요성 인식
모든 등반 신호는 서로가 인지를 할 수 있는 구호로 하고, 항상 전달이 되었는지 확인을 한 후
행동을 시작해야 한다.
특히, 잘못된 등반 구호의 전달이 등반에 장애를 끼치거나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
하고 등반 구성원 모두가 같은 구호와 복창 그리고 전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
⑴ 출발 - 등반을 시작할 때
⑵ 완료 - 등반 완료, 확보준비, 하강, 고정, 대기 등의 작업을 완료 하였을 때 해당되는 동작의
구호를 앞에 붙여서 동료에게 전달한다.
⑶ 대기 - 등반, 확보 등의 상황에서 대기할 필요가 있을 때
⑷ 줄 당겨 - 줄을 당겨야 할 때 / 줄 늦춰 - 줄을 늦추어 줘야 할 때
⑸ 고정 - 줄을 고정 해 줘야 할 때나 등반을 줄을 고정 하였을 때, 줄의 고정을 원할 때
⑹ 낙석 - 돌, 나무, 장비 등을 떨어 드렸을 때 혹은 떨어질 때 경고
⑺ 줄 내려갑니다. - 하강 또는 줄을 내려주기 위해 줄을 던질 때 경고
⑻ 하강 - 하강 시 주변 동료들에게 알림
등반신호 예)
○○ 등반 준비 완료 ⇒ 확보 준비 완료 ⇒ 출발(복창) ⇒ 줄 당겨(복창), 줄 늦춰(복창)
고정(복창), 대기(복창) ⇒ 출발(복창) ⇒ 등반완료(자기 확보 후, 복창) ⇒ ○○ 등반 준비
완료 ⇒ 확보 준비 완료 ⇒ 출발(복창) ⇒ 등반완료(자기 확보 후, 복창) ⇒ 줄 내려갑니다.
⇒ 하강(복창) ⇒ 하강 완료(복창)
Ⅳ. 슬랩 등반
⑴ 등반의 3원칙
① 3지점확보
② 밸런스(균형 잡기, 체중이동)
③ 리듬 (보폭)
④ 테크닉
⑤ 파워
⑥ 정신력
⑦ 경험
⑵ 발의 역할
① 발 디딤의 포인트 - 손잡는 곳이 발 디딜 곳이며 바위가 패인 곳, 각이 약한 곳, 표면이 거친 곳.
② 11자 이동 - 발바닥 전면이 전체적으로 바위 표면에 닿도록 해야 한다.
③ 바위의 각도에 따른 발목의 각도 변화
- 바위의 각도에 따라 발목의 각도를 조절하여 항상 발일 11자가 되고 바위와의 마찰 면적이
넓도록 조절한다.
⑶ 상체의 자세
① 엉덩이 넣기
② 가슴 펴기
③ 홀드 살피기
Ⅴ. 하강하기
⑴ 하강지점의 선정
- 하강지점이 하강하기에 충분히 안전한가?
- 하강 자들이 대기하기에 안전하고 편안한가?
- 밑으로 낙석을 떨어드릴 위험성은 없는가?
- 다음 하강 지점의 관찰이 용이한가?
㈀ 자연지점 - 돌, 나무 등등
㈁ 인공지점 - 하켄, 볼트 등등
⑵ 하강법의 종류
㈀ 몸을 이용하는 방법 - 듈퍼식, 로프 꼬으기
㈁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 - 카라비너, 8자 하강기, 튜브 하강기, 기타 하강기구
㈂ 하강 중 정지 및 고정법, 밑에서 잡아주기
⑶ 하강 시 주의점
㈀ 끝줄 묶어서 던지기 - 하강 지점에 닿지 않을 때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.
㈁ 줄이 걸리거나 꼬이지 않게 내리기 - 하강 중 줄 처리가 어렵고 하강이 불가능 해질 때가 있음.
㈂ 낙석 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조심할 것.
㈃ 하강 후 확보지점에 끝줄 묶어 놓기
- 다음 하강자의 안전한 하강과 자신의 안전을 위해 필히 끝줄을 확보 지점에 묶을 것.
'스토리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우협회 심화 교육 (0) | 2006.06.02 |
---|---|
수업 (0) | 2006.06.01 |
[스크랩] 알고 갑시다 2. ( 추락계수란 ) (0) | 2006.05.29 |
[스크랩] 노적봉 개념도 (0) | 2006.05.29 |
과천 서울 랜드 (0) | 2006.05.28 |